사회초년생 연말정산 공제금액 비교 | 연금저축과 청약통장
경제정보/부동산, 세금

사회초년생 연말정산 공제금액 비교 | 연금저축과 청약통장

경기도민2015 2023. 11. 17.

올해 입사한 사회초년생은 2024년 1월에 처음으로 연말정산을 시행하게 됩니다.

13월의 월급이 되기 위해서는 소득 및 세액공제 항목에 대한 공략법을 알아야 합니다.

여러 항목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연금저축과 청약통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요약입니다.

1. 사회초년생 : 청약통장이 유리
2. 연금저축 세액공제 : 15%, 최대 135만 원
3. 청약통장 소득공제 : 40%, 최대 120만 원

 

 

1. 연금저축과 청약통장

 

 

 

매년 1월 직장인들은 13월의 월급을 받기 위해 연말정산을 시행합니다.

신입사원들에게는 처음 시행하는 일이라서 더욱더 신경 써야 합니다.

인적공제, 의료비, 신용카드, 기부금 등 챙겨야 할 항목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득공제 청약통장과 세액공제 연금저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약통장은 내 집마련, 연금저축은 노후를 대비한 상품입니다.

각각의 납입한도와 공제율을 살펴보겠습니다.

 

구분 청약통장 연금저축(IRP 포함)
7000만 원 이하 5500만 원 이하 5500만 원 초과
납입한도 300만 원 900만 원 900만 원
공제율 40% 15% 12%
최대 공제액 120만 원 135만 원 108만 원

 

청약통장의 납입한도는 기존 24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확대적용될 예정입니다.

연금저축의 공제율은 16.5%에서 15%로, 13.2%에서 12%로 변경되었습니다.

 

#청약통장

내 집마련 마련을 위한 청약 도전, 소득공제

사회진출과 동시에 가입을 적극 추천

 

#연금저축

노후를 준비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상품, 세액공제

55세 이후에 수령가능, 해지하면 공제받은 금액의 16.5% 세금납부

입사 후 1~2년은 연금저축 없이 연말정산 시행 추천

 


2. 공제금액 비교

 

 

 

사회초년생 입장에서 청약통장과 연금저축의 연말정산 효과를 알아보겠습니다.

대부분의 신입사원들은 3천 ~ 5천만 원 사이의 연봉을 받을 것입니다.

각 연봉별 소득세 및 국민연금 등의 대략적인 금액입니다.

 

  • 연봉 3천만 원 : 월 3만, 1년 36만 원
  • 연봉 4천만 원 : 월 10만, 1년 120만 원
  • 연봉 5천만 원 : 월 20만, 1년 240만 원

 

구분 연봉 3천 연봉 4천 연봉 5천
국민연금(만 원) 10 14 18
건강보험(만 원) 8 11 14
고용보험(만 원) 2 2.8 3.6
1년 총액(만 원) 240 333.6 427.2

 

청약통장-연금저축-연말정산-비교
청약통장과 연금저축, 연말정산 비교

 

1인 가구, 공적보험적용 기준 결정세액(주민세 포함) 및 납부금액입니다.

납부금액이 +이면 추가납부, -이면 환급입니다.

 

구분 연봉 3천 연봉 4천 연봉 5천
결정세액(원) 556,325 1,807,410 3,164,370
납부액(원) +160,320 +487,410 +524,370

 

#청약통장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10만 원 즉, 1년에 120만 원을 납입합니다.

납입액별로 세금환급효과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1인 가구이며 청약통장외에는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구분 120만 원 240만 원
납부액(원) 절약효과(원) 납부액(원) 절약효과(원)
연봉 3천 105,480 55,440 69,100 91,220
연봉 4천 408,210 79,200 329,010 158,400
연봉 5천 445,170 79,200 365,970 158,400

 

연봉5천-청약저축-효과
이미지 출처 : 국세청

 

연봉 5천, 청약저축 120만 원을 예로 설명하겠습니다.

기존 추가납부액 524,370원에서 445,170원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즉, 79,200원의 세금절약 효과가 발생한 것입니다.

 

#연금저축

IRP를 제외한 연금저축의 최대 납입액은 600만 원입니다.

연금저축만을 고려하여 납입액별 세금효과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구분 400만 원 600만 원
납부액(원) 절약효과(원) 납부액(원) 절약효과(원)
연봉 3천 -396,000 -63,375 -396,000 -363,375
연봉 4천 -172,590 60,000 -502,590 90,000
연봉 5천 -135,630 60,000 -465,630 90,000

 

연봉3천-연금저축-효과
이미지 출처 : 국세청

 

연봉 3천, 연금저축 400만 원을 예로 설명하겠습니다.

세액공제 60만 원이 아닌 536,625원 적용으로 모든 세금을 환급받았습니다.

즉, 63,375만큼을 손해 본 것입니다.

 

국세청 홈텍스(2023 연말정산계산기) 바로가기

 

 

2-1. 결론

 

 

 

실제 연말정산 시에는 국민연금 이외에 카드, 의료비, 자동차보험 등을 공제받습니다.

청약저축만으로 추가납부가 아닌 환급을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 연봉 3~5천만 원 : 세금절약효과면에서 청약저축통장 유리

 

실제 저의 경우를 이야기드려보겠습니다.

입사 6년 차까지 청약통장만 가지고 있었으며, 당시 연봉은 5800만 원이었습니다.
5년 차까지 매해 세금 환급을 받아왔지만, 6년 차에 15만 원을 추가 납부했습니다.
다음 해에 연금저축 400만 원을 추가한 결과, 90만 원을 환급받았습니다.

 

연금저축은 세금측면에서 입사와 동시에 가입하지 않아도 됩니다.

몇 년 동안 연말정산을 실제 해보시고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사회초년생 입장에서 청약통장과 연금저축의 연말정산 효과를 알아보았습니다.

개인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공제항목을 잘 활용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연말정산 최대 환급, 신용 및 체크카드 사용 비율 | 연봉 25% 신용카드

 

연말정산 최대 환급, 신용 및 체크카드 사용 비율 | 연봉 25% 신용카드

매년 2월 실시하는 연말정산을 어떻게 준비하는지에 따라 환급액에 큰 차이를 보입니다. 여러 항목 중에서 개인의 사용 비율에 따라 소득공제가 달라지는 것은 신용 및 체크카드입니다. 연말정

moneymaster2015.tistory.com

댓글

TOP

나를 이롭게 남을 이롭게 모두를 이롭게 하고 싶은 회사원 개발자 선생님